미중 정상회담서 빠진 '블랙웰 칩'…트럼프가 포기한 승부수?
AI 반도체 수출 논의, 왜 막판에 제외됐나?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0월 30일 부산에서 가진 미중 정상회담에서, 핵심 기술 이슈 중 하나였던 엔비디아 '블랙웰 칩' 수출 논의가 빠진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당초 트럼프 대통령은 이 문제를 논의하려 했으나, 참모들의 반대에 부딪혀 의제에서 제외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이 다시 한번 부각된 이번 이슈의 흐름과 그 의미를 짚어봅니다.

---
트럼프가 꺼낸 블랙웰 칩 카드, 왜 거둬들였나?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전까지 블랙웰 칩의 제한적 수출 허용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었죠.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의 요청도 영향을 줬습니다. 하지만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을 포함한 주요 참모들이 국가안보 우려를 강하게 제기하면서 결국 해당 안건은 정상회담에서 빠지게 됩니다.
---
미중 기술 패권 전쟁 속 '전략 반도체'
블랙웰 칩은 단순한 반도체가 아닙니다. AI 데이터센터 성능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기술의 핵심 자원입니다. 이 칩의 중국 수출이 허용되면 중국 AI 생태계가 비약적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기에, 미국 안보 전략상 민감한 사안으로 간주됩니다.
---
젠슨 황의 로비전, 한 발 물러선 트럼프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하루 전까지도 젠슨 황과의 만남을 예고하며 긍정적인 분위기를 보였지만, 결과적으로 정치적 판단이 앞섰습니다.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제한 해제 등과 맞바꿀 수 있는 협상 카드였지만, 참모진은 이득보다 위험이 크다고 판단한 셈입니다.
---
수십억 달러 매출의 기회, 놓친 건 누구?
월스트리트저널은 이번 결정이 트럼프 참모진의 승리이자 젠슨 황의 패배라고 평가했습니다. 만약 블랙웰 칩 수출이 허용됐다면, 엔비디아는 수십억 달러의 추가 매출을 확보할 수 있었고, 중국 AI 기업들도 여전히 엔비디아 기술에 의존하게 되는 구조였을 겁니다.
---
미중 정상회담, 협상보다 관리의 시간
이번 회담은 새로운 합의보다는 충돌 최소화와 현상 관리에 초점이 맞춰졌습니다. 블랙웰 칩 의제를 제외한 것은 단순히 기술 수출 문제가 아니라, 미중 사이의 불신과 전략적 갈등의 깊이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이기도 합니다.
---
트럼프의 입장 선회, 하루 만에 '불허' 선언
회담 직후 트럼프 대통령은 "첨단 칩은 다른 나라에 주지 않겠다"고 못박았습니다. 이는 엔비디아에 있어선 중대한 제동이자, AI 반도체 글로벌 시장의 지형에도 영향을 미치는 메시지입니다. 다만, 그는 '첨단 칩'의 정의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아 여지를 남기기도 했습니다.

---
블랙웰 칩 논쟁, 2026 미국 대선과도 연결?
AI 기술 수출 문제는 향후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방향, 나아가 2026 대선 행보와도 긴밀히 연결될 수 있습니다. 대중 강경 노선을 유지하면서도, 실리 외교를 병행하려는 전략이 혼재된 모습입니다. 젠슨 황은 내년 4월 트럼프 방중 전에 다시 로비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
표로 보는 블랙웰 칩 이슈 핵심 요약
구분 내용 요약
제품명 엔비디아 블랙웰 칩
논의 대상 미중 정상회담 (2025년 10월 30일, 부산)
제외 이유 참모진의 강경 반대, 국가안보 우려
주요 인물 트럼프, 시진핑, 젠슨 황, 마코 루비오
향후 전망 수출 불허 유지 가능성, 로비전 지속
---
#미중정상회담 #트럼프정책 #AI반도체 #엔비디아블랙웰 #반도체수출규제 #미중기술패권
미중정상회담, 젠슨황, 반도체전쟁, 블랙웰칩, 글로벌기술전쟁, 미국대선2026
'SMA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한화오션, 13만원선 붕괴…조선업 대표주, 어디로 가나? (0) | 2025.11.05 |
|---|---|
| LG전자, 애플 아이폰 생산장비 공급…글로벌 제조 전략의 판도 바꾼다 (0) | 2025.11.05 |
| AWS 맷 가먼 CEO “한국에 13조 투자…AI 인프라 중심국가 될 것” (0) | 2025.11.04 |
| 삼진어묵, 자갈치 명물에서 코스닥 입성까지…글로벌 ‘K-어묵’ 도전 (0) | 2025.11.04 |
| 엔비디아 26만장 GPU 공급, 삼성·SK 하이닉스 'HBM 메모리 패권' 굳힌다 (0) | 2025.11.04 |